pip3 install powerline-status
일단 시작은 이렇게 ㅎ
그리고 나서
https://github.com/powerline/fonts
GitHub - powerline/fonts: Patched fonts for Powerline users.
Patched fonts for Powerline users. Contribute to powerline/font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.
github.com
이 짝을 통해서 온갖 powerline을 지원하는 폰트를 설치해주고 (install.sh를 활용하자)
pip3 show powerline-status
욤마를 통해 알게 된 python 경로를 얻은 뒤
.bash_profile 파일 안에 아래처럼 꾸겨 넣어보자
# Powerline
export PATH=$PATH:$HOME/Library/Python/3.6/bin
powerline-daemon -q
POWERLINE_BASH_CONTINUATION=1
POWERLINE_BASH_SELECT=1
. /Users/yourUserName/Library/Python/3.6/lib/python/site-packages/powerline/bindings/bash/powerline.sh
(각자 python 경로 다름 주의)
아 그리고 나만의 theme를 위해 default config 파일들을 끌어와 오버라이딩 하자스라
$ mkdir ~/.config/powerline
$ cp -r /usr/local/lib/python3.6/site-packages/powerline/config_files/ ~/.config/powerline/
(요기도 각자 python 경로 다름 주의)
~/.config/powerline/ 안에 있는 config 파일들이 이제 나만의 theme 되시겠다
vim에도 powerline을 적용하고 싶다면 .vimrc에도 코드를 넣어주어야 한다
(없으면 ~/ 에 맹글도록 하자)
" powerline
set rtp+=/usr/local/lib/python3.6/site-packages/powerline/bindings/vim
set laststatus=2
set t_Co=256
다음 powerline-gitstatus 차례
아무래도 요놈이 GIT의 상태를 더 잘 보여준다 ㅎㅎ
냅다리 pip로 설치하자
pip3 install --user powerline-gitstatus
그 다음 오버라이딩한 나만의 config 파일에 코드를 넣어주자
{
"groups": {
....(기존 꺼 두고)...
"gitstatus": { "fg": "gray8", "bg": "gray2", "attrs": [] },
"gitstatus_branch": { "fg": "gray8", "bg": "gray2", "attrs": [] },
"gitstatus_branch_clean": { "fg": "green", "bg": "gray2", "attrs": [] },
"gitstatus_branch_dirty": { "fg": "gray8", "bg": "gray2", "attrs": [] },
"gitstatus_branch_detached": { "fg": "mediumpurple", "bg": "gray2", "attrs": [] },
"gitstatus_tag": { "fg": "darkcyan", "bg": "gray2", "attrs": [] },
"gitstatus_behind": { "fg": "gray10", "bg": "gray2", "attrs": [] },
"gitstatus_ahead": { "fg": "gray10", "bg": "gray2", "attrs": [] },
"gitstatus_staged": { "fg": "green", "bg": "gray2", "attrs": [] },
"gitstatus_unmerged": { "fg": "brightred", "bg": "gray2", "attrs": [] },
"gitstatus_changed": { "fg": "mediumorange", "bg": "gray2", "attrs": [] },
"gitstatus_untracked": { "fg": "brightestorange", "bg": "gray2", "attrs": [] },
"gitstatus_stashed": { "fg": "darkblue", "bg": "gray2", "attrs": [] },
"gitstatus:divider": { "fg": "gray8", "bg": "gray2", "attrs": [] }
}
}
( .config/powerline/colorschemes/default.json 에 groups 안에 추가하도록 하자 )
....(기존꺼 두고)....
{
"function": "powerline_gitstatus.gitstatus",
"priority": 40
}
....(기존꺼 두고)....
( .config/powerline/themes/shell/default.json 에 한 쪽에 추가하다 -> 대충 보면 뭔 이야기인지 안다. 넣고 싶은 side에 넣자 )
그 다음에 주의 ㅋㅋ
바로 iterm이나 shell을 껏켰한다고 해서 달라지는 것이 없을 것이다
source ./.bash_profile (또는 ./.bashrc)
하고 나서
powerline-daemon --replace
요놈을 해줘야 껏켯하지 않아도 반영/재실행 된다 ㅎㅎ
이뿌다잉
이제 시간도 넣고 배터리도 넣고 개인적인 theme을 꾸려보자 ㅎㅎ
'코딩을 허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Miscellaneous Commands (cont.) (1) | 2022.01.31 |
---|---|
[Mac] Powerline에 시간 넣기 (0) | 2022.01.01 |
[IoT] 삼성 SDS (SHN-8912) 월패드 성공기 2-2 : 인피니티워 2 (2) | 2021.12.26 |
[CS] 뎃씨멀의 모든 것 (0) | 2021.12.25 |
[CS] 카피의 모든 것 (0) | 2021.12.24 |